Title
산사태
본 페이지는 기후변화 영향 실태 및 평가 보고서에 수록된 산림교란 정보 중 산사태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.
산사태 정보
조사·평가 대상 및 범주
  • 사방사업법 제2조5항의 정의에 따른 산사태(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원인으로 산지가 일시에 붕괴된 현상) 피해 면적을 조사·분석함
  • 우리나라 산사태 피해 면적과 강우 특성 비교를 위해 연강수량, 80mm 이상 호우일수, 강수 강도, 5일 최대강우량 등 7개 강우 특성 지표를 활용하여 다변량 회귀모형을 도출함
  • SSP1-2.6, SSP5-8.5를 활용하여 기후변화가 산사태피해면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
기후변화 영향 실태
  • 우리나라의 산사태는 강우가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여 여름철, 즉 6월부터 10월까지 산사태 발생이 집중됨
  •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강수량은 증가하지만 강우일수는 감소하는 경향이 심화됨에 따라 여름철 집중호우 시 강우강도가 증가하는 추세임
  • 극한강우사상의 발생 빈도 및 규모 증가로 산사태 발생 위험 증가 추세
기후변화 영향 평가
  • 기후변화에 따라 연평균 산사태 피해면적이 2030년대 이후는 현재(1981∼2010년, 422.73ha/연) 대비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
  • SSP1-2.6 시나리오에서는 2070년대, SSP5-8.5 시나리오에서는 2090년대에 산사태 피해면적이 최대가 될 것으로 예측됨
<현재대비 2030~2099년까지의 산사태 피해면적(ha/연)변화 예측>
기간(년) 산사태 예측피해면적(SSP1-2.6) 산사태 예측피해면적(SSP5-8.5)
현재
(2018 ~ 2010)
422.73
2030 ~ 2039 899.19(2.1배) 836.52(2.0배)
2050 ~ 2059 908.9(2.1배) 1011.45(2.5배)
2070 ~ 2079 1024.59(2.4배) 1069.63(2.5배)
2090 ~ 2099 955.59(2.3배) 1176.79(2.8배)
적응을 위한 제언
  • 정책
  • 산사태 발생 예측 불확실성 및 대규모화에 대응하기 위한 산사태 예·경보 시스템 및 경계피난 체계 고도화 지속 투자 필요
  • 사방기본계획 등 산사태 방지 관련 장기기본계획 내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피해 변화 전망 반영
  • 관리
  • 산사태 위험지 확대에 따른 산림유역단위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·관리·해체 체계 정비
  •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피해규모 증가를 고려한 사방댐 등 사방사업 실시 규모 확대 및 사방댐 장수명화를 위한 유지보수 체계 구축
  • 연구
  • 개별 산사태의 발생시점과 정확한 위치 정보 확보 및 공간분포 모델 구축
  • 산불, 산지전용 등으로 인한 미래 산림의 공간특성 변화에 대한 분석 선행으로 미래 산사태 위험 예측의 정확도 제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