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기후 변화에 따른 가뭄, 홍수, 이상고온, 이상 저온 등 발생으로 생태계 변화, 용수 수급 위협 등 기후 위기 상황 직면
- 특히 농업은 기후 의존성이 높은 분야로 기후변화 영향과 피해 정도가 타 분야에 비해 매우 크며 치명적 위협으로 작용
- 농업 분야의 기후변화 영향 정도를 파악하여 선제적 기후 위기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한 전보를 제공하고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
- 본 시스템은 농업용수와 관련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·홍수 발생위험지역과 작물 재배적지, 이상기상 등의 현황과 미래 전망을 분석하여 제공합니다.
- 가뭄·홍수 발생위험지역에 대한 평가는 가뭄·홍수와 관련된 기상항목(기후노출도)과 영향을 받는 대상항목(민감도)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상대적인 영향평가 결과를 제공합니다.
- 작물 재배적지는 각 작물의 생육과 관련된 기상항목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재배적합지, 재배가능지, 저위생산지 결과를 제공합니다.
평가결과는 등급화되어 전국 시군구단위의 지도(GIS)로 표출됩니다.
등급 분류를 위하여 등급간 간격과 등급구간의 경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“ 자연적 구분법 ( Jenks Natural Break )” 을 적용하였습니다.
- 자료값을 등급별로 구분할 때 등급 내의 편차는 최소화하고, 등급 간의 표준편차는 최대화하도록 자료를 구분하는 방법
- 자료값들의 분포를 고려하여 비슷한 값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방법
- 평가 지수를 3등급으로 구분하여 공간정보로 표출
- 농업용수 가뭄·홍수 발생위험지역: 영향 큼, 영향 보통, 영향 적음
- 작물 재배적지: 저위생산지, 재배가능지, 재배적합지
폭염, 한파, 고온, 저온에 대해 기상특보(주의보) 기준 고려, 선행연구 비교·분석
지표 | 출처 | 공간적 범위 | 시간적 범위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연평균 폭염일수 (일 최고기온 33도 이상, 2일 이상 지속) |
기상청 | 시군구 | 2011~2021년 일단위 |
폭염 |
연평균 한파일수 (10월~4월중, 아침 최저기온 -12도 이하, 2일 이상 지속) |
한파 | |||
연평균 이상고온 일수 (평년 대비 최저·최고기온 90퍼센타일 초과인 경우) |
농촌진흥청 실태조사 | 2011~2020년 일단위 |
고온 | |
연평균 이상저온 일수 (평년 대비 최저·최고기온 10퍼센타일 미만인 경우) |
농촌진흥청 실태조사 | 저온 |
지표 | 출처 | 공간적 범위 | 시간적 범위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연평균기온(˚C) | 기상청 | 시군구 | 현재 : 2011~2021년대 미래 : 2030년대 (2030~2039년) 2040년대 (2040~2049년) 2050년대 (2050~2059년) |
|
관개기 평균기온(5~9월)(˚C) | ||||
연평균 강수량(mm) | ||||
관개기 강수량(5~9월)(mm) | ||||
비관개기 강수량(mm) | ||||
유효강수일수(5mm이상 강수일수)(일) | ||||
최대연속 무강우일수(일) | ||||
기준증발산량(mm) | 농어촌공사 |
지표 | 출처 | 공간적 범위 | 시간적 범위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연평균 강수량(mm) | 기상청 | 시군구 | 현재 : 2011~2021년대 미래 : 2030년대 (2030~2039년) 2040년대 (2040~2049년) 2050년대 (2050~2059년) |
|
관개기 강수량(5~9월)(mm) | ||||
강수일수(일) | ||||
일강수량 80mm이상 일수(일) | ||||
일최대강우량(mm) | ||||
5일최대 강우량(mm) |
지표 | 적지 | 가능지 | 부적지&저위생산지 |
---|---|---|---|
생육기 기온(˚C) | 14.5 ~ 18.5 | 13.5 ~ 14.5 , 18.5 ~ 19.5 | <13.5 , 19.5< |
연평균 기온(˚C) | 7.5 ~ 11.5 | 6.5 ~ 7.5 , 11.5 ~ 12.5 | <6.5 , 12.5< |
성숙기 기온(˚C) | 10.0 ~ 20.0 | - | <10 , 20.0< |
극최저 기온(˚C) | -30 | -32 | -35 |
지표 | 적지 | 가능지 | 부적지&저위생산지 |
---|---|---|---|
생육기 기온(˚C) | 14.5 ~ 18.5 | 13.5 ~ 14.5 , 18.5 ~ 19.5 | <13.5 , 19.5< |
연평균 기온(˚C) | 7.5 ~ 11.5 | 6.5 ~ 7.5 , 11.5 ~ 12.5 | <6.5 , 12.5< |
성숙기 기온(˚C) | 10.0 ~ 20.0 | - | <10 , 20.0< |
극최저 기온(˚C) | -30 | -32 | -35 |
지표 | 적지 | 가능지 | 부적지&저위생산지 |
---|---|---|---|
생육기 기온(˚C) | 18.0 ~ 23.0 | 16.0 ~ 18.0 | <16.0 , 23.0< |
연평균 기온(˚C) | 11.5 ~ 15.5 | 10.0 ~ 11.5 , 15.5 ~ 16.5 | <10.5 , 16.5< |
극최저 기온(˚C) | -20 | -23 ~ -25 | -25 |
지표 | 적지 | 가능지 | 부적지&저위생산지 |
---|---|---|---|
연평균 기온(˚C) | 11.0 ~ 15.0 | 9.0 ~ 11.0 , 15.0 ~ 17.0 | <9.0 , 17.0< |
생육기 기온(4~10월)(˚C) | 18.0 ~ 22.0 | 16.0 ~ 18.0 , 22.0 ~ 24.0 | <16.0 , 24.0< |
성숙기 기온(8월)(˚C) | <26.0 | - | 30.0< |
극최저 기온(˚C) | - | -18.0 ~ -25.0 | <-25.0 |
지표 | 적지 | 가능지 | 부적지&저위생산지 |
---|---|---|---|
연평균 기온(˚C) | 13.0 이상 | 12.0 ~ 12.9 | 12.0 이하 |
생육기 기온(˚C) | 20.0 ~ 25.0 | 18.0 ~ 20.0 | 18.0 이하 |
9월 평균 기온(˚C) | 22.0 이상 | 20.0 ~ 22.0 | 20 이하 |
10월 평균기온(˚C) | 15.0 이상 | 13.0 ~ 15.0 | 13.0 이하 |
온량지수(˚C) | 105 이상 | 100 ~ 105 | 100 이하 |
극최저 기온(˚C) | -14 | -15 ~ -14 | -15 이하 |